한달이 채 남지 않은 이번 4.15총선은 역대 선거와는 확연하게 다르다는 것을 느끼게 한다.
 먼저 개정 선거법에 따른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처음 도입되고, 선거연령은 만 19세에서 18세로 낮아진다. 여기에다 듣도 보도 못한 비례정당의 출현은 유권자들을 헷갈리게 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의 출현으로 전대미문의 경제쇼크까지 겹쳐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형국이다. 정책선거가 아닌 정치불신으로 이어져 소위 말하는 '깜깜이' 선거가 될 조건은 수두룩하다.

 난데없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은 우려했던 비례정당 창당 수순으로 이어졌다. 미래통합당의 비례위성정당을 그토록 비난하던 더불어민주당도 똑같은 수순을 밟았다. 플랫폼 정당 ‘시민을 위하여’와 함께 내세울 비례대표 연합정당 ‘더불어시민당’을 출범시켰기 때문이다. 민주당이’개국본‘출신들이 주축인 ‘시민을 위하여’를 앞세워 연합정당이라기보다는 사실상 친문성향 ‘비례민주당’을 만들었다는 비판도 나온다. 민주당과 연합정당 창당을 논의했던 정개련은 ‘민주당이 선거연합 정당의 취지를 근본적으로 무너뜨렸다’며 반발했고 미래당과 녹색당은 결별을 선언했다  이는 전형적인 '내로남불'이자 정치불신을 키우는 행태에 다름 아니다.

 비례정당 출현으로 원내 1, 2당은 지역구 후보만 내고 비례후보는 내지 않는 초유의 현상도 빚어지고 있다.
 그들이 열렬히 환영하던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취지는 이미 퇴색됐는가 하면 오히려 ‘선거운동 제한’이라는 자충수를 불러왔다. 중앙선관위가 비례대표 후보를 내지 않는 정당은 선거방송토론위원회가 주관하는 TV토론회에 참여할 수 없다는 유권해석을 내놓았기 때문이다. 이대로라면 신문과 방송 등에 광고도 할 수 없다. 매스컴은 정당들이 정책을 홍보하는 유효한 수단이다. 유권자들은 토론회를 통해 정책을 비교 평가한다. 이런 기회를 원천적으로 봉쇄당한 꼴이다.

 유권자는 안중에도 없는 정당들의 행태가 자칫 선거무관심과 정치 불신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이 태산이다.
 정치불신은 낮은 투표율로 이어져 당선자의 대표성에 의문을 낳는다. 가뜩이나 이번 총선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로 선거운동이 크게 위축된 상황이다. 예비후보들은 유권자를 직접 만나 악수를 하거나 명함을 건네는 등의 대면 선거운동은 거의 하지 못하고 있다. 물론 코로나19 감염 증가가 투표율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번 총선이 정책선거가 아닌 진영대결의 장이 되어서는 곤란하다.

 어쨌든 정치권은  하루빨리 유권자들에게 신뢰받고 쪽 팔리지 않는 선거를 할수 있는 대책을 내놔야 함은 더 말할 나위 없다. 작금의 혼란한 상황을 방관하는 건 더 이상 유권자에 대한 도리가 아니기 때문이다. 진정한 풀뿌리 민주주의가 요구되는 이유다.

저작권자 © 고성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