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군 안전지수가 지난해보다 2등급이나 상승된 23등급으로 대책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올해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지역안전지수에서 경남은 교통사고, 화재,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등은 2등급으로 전국에서 상위권을 기록했으며 범죄는 중간정도인 3등급, 자연재해에 대해서는 하위권인 4등급으로 분류됐다.
 경남의 7개 분야 안전지수 등급 총합은 17등급으로 전국 17개 시·도에서 경기(13등급)와 서울(15등급)에 이어 경남이 울산(17등급)과 함께 전국에서 세 번째로 안전한 지역으로 분류됐다.
 지역안전지수란 각 지자체의 안전수준을 분야별로 계량화한 수치로 천년도 안전 관련 주요 통계를 근거로 점수를 매기는 것이다. 점검분야는 교통·화재·범죄·자연재해·생활안전·자살·감염병 등 7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도내 18개 시군 종합지수에서는 양산이 15등급으로 가장 안전한 지역으로 분류됐고 창원 17등급, 진주 18등급, 창녕 19등급, 김해·함안·거창 20등급 순이었다.
 
 하지만 고성군은 23등급으로 분류돼 지난해 21등급 보다 높게 책정돼 여전히 ‘안전불감증’지역으로 분류된 것이다.
 교통은 4등급에서 2등급으로, 화재도 4등급에서 3등급으로 회복세를 보이긴 했으나, 범죄 지표에서는 지난해와 같이 여전히 4등급을 받아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생활안전은 지난해 2등급에서 3등급이며, 자살 또한 2등급에서 3등급으로, 감염병도 4등급으로 지난해보다 높게 책정됐으며, 자연재해는 무려 2등급이나 상승된 4등급으로 분류됐다.
 민생과 가장 밀접한 부분인 화재·범죄 부문의 안전도가 이처럼 높다면 쉽게 넘어갈 일이 아니다.
 가장 큰 문제는 고성군이 주창하고 있는 ‘인구늘리기’와 밀접한 관계라 더 그러하다. 민관이 함께 애써봤자 '말짱 도루묵'이란 얘기다. 하루빨리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마땅하다.
 5등급에 가까울수록 사망자 또는 사고 발생 건수가 타 지역에 비해 많다고 보면 고성군의 안전 사각지대가 그만큼 많다는 엄중한 경고인 셈이다.

 이렇듯 앞으로도 매년 안전지수를 발표할 예정인 만큼 가벼이 넘길 일이 아닌 것만은 분명하다. 지역안전에 대한 개선 의지가 있는지 묻고 싶다. 반복된 이런 식이라면 중앙부처로부터의 패널 티도 감수해야 한다.
 매년 국·도비에 의존하고 있는 고성군 살림살이를 놓고 볼 때 낭패가 아닐 수 없다. 물론 이 때문에 안전지수를 걱정하는 건 아니다,
 지역안전지수는 발표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닌, 이를 통해 다른 지역보다 취약한 분야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개선하도록 유도해 우리나라 안전수준을 전반적으로 높이기 위함이다.
 지역안전지수의 공개로 재난과 사고 등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발생할지 모르지만, 사전대비를 잘하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국민안전처 또한 안전 관련 조직을 강화하고, 재정이 열악한 시군에 대해 안전 관련 예산을 대폭 지원해야 함이 마땅하다.

 각 지자체가 지역 안전에 대한 책임감을 갖고 선의의 경쟁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내년 소방안전교부세 교부 과정에 지난해 대비 올해 안전 등급 개선도를 반영할 방침이라고 하니 다행스럽긴 하다.
 어떤 수를 쓰더라도 고성군은 7개 분야별 지역안전지수를 상향시켜 안전한 고성을 만들기 위해 만반의 대비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안전분야는 정주여건 등 도시 경쟁력에도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는 중요한 사안인 만큼 전국에서 가장 안전한 도시로 자리매김할 때까지 지역안전지수 개선을 위한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
 취약분야에 대한 원인 분석과 개선책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함은 당연히다. 관련 기관과 머리를 맞대어 다른 지역에 비해 지수가 높은 분야와 지난해에 비해 지수가 하락한 분야에 대한 원인 분석을 통해 실효성 있는 정책을 적극 추진해 나갈 수 있길 학수고대한다.
 민생복지와 함께 살기 좋은 고성군을 만드는 것이 여기에 달렸음이다.

저작권자 © 고성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