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이맘때면 전국 곳곳에서 지역축제가 열리고 있다. 그러나 시끌벅적한 먹자판으로 치부되는 ‘지역 축제’에 대한 거부감이 확산되고 있어 안타깝기 그지없다. 물론 개성 있는 콘텐츠와 차분하면서도 깊은 인상을 주는 축제 분위기로 해마다 전국 각지에서 많은 관람객을 불러 모으는 성공한 지역 축제도 없지 않다.
 하지만 그 지역의 고유한 콘텐츠 발굴이나 제대로 된 준비도 없이 그냥 북적대고 시간 때우기씩 축제가 대부분이어서 지역 축제를 바라보는 이미지와 시선이 갈수록 흐려지고 있다.
 대부분 축제가 그렇듯이 관람객의 기호나 편의를 무시하고 먹자판 위주의 소란스러운 분위기에다 바가지 상업성이 판을 치는 경우가 많아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전국 축제장이라면 어김없이 찾아다니는 장사치의 대목 판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결과는 각 지자체에서 축제의 본질 및 성격에 관한 깊은 이해도 없이 매년 천편일률적인 프로그램으로 사람 끌어 모으는데 만 혈안이 된 때문이다.

 전국에서 수백 곳이 넘는 지역 축제가 외면 받는 가장 큰 이유다. 너도나도 축제를 급조해 건성으로 진행하면서 이런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아무런 변화나 개선 노력 없이 지역 축제가 이대로 계속 갈 경우 ‘지역 축제 폐지론’ 등 부정적인 목소리가 커질 수밖에 없다.
 얼마 전 개최된 소가야문화제도 이런 문제점 등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좀 더 다양한 콘텐츠를 구성해 지역민들이 더 이상 식상케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세계적인 공룡엑스포 행사도 성공적으로 치룬 고성군의 축제가 다른 곳의 이벤트성 축제처럼 되어서는 체면이 말이 아니다. 수십 년간 개최해온 축제가 이런 좋지 않은 인상으로 누적되고 굳어질 경우 두 번 다시 가고 싶지 않은 축제로 전락하는 것은 시간문제다. 다른 지역의 축제 보다 그다지 차별성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축제를 연답시고 그저 잔치판만 벌여 예산만 낭비하기 보다는 행사를 통해 지역의 특산물 등을 판매하고 홍보하는 그런 시스템을 구축해야만 진정 성공적인 지역축제로 거듭날 수 있다. 이럴 바엔 소규모 축제가 더 효율적이고 인상적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영현면 ‘촌스런 축제’는 여름휴가철 관광객들을 끌어들이기에 충분하다. 적은 예산으로 벌써 몇 회째 행사를 치루고 있는 가운데 호평을 받고 있다.
 여기에다 이번 주말에 처음 열리는 ‘월이축제’ 또한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대승을 거둔 당항포 해전을 토대로 다양한 콘텐츠아래 행사를 치른다고 하니 사뭇 기대가 크다.
 특히 다음 주부터 실시되는 ‘가리비 축제’ 또한 창의성이 돋보인다. 고성의 대표적인 청정수산물인 가리비를 테마로 삼아 굴, 멸치, 새우 등의 특산물과 어우러져 풍성한 먹거리 축제를 벌인다고 하니 반갑기 그지없다. 축제의 본래 목적인 지역경제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인다.
 축제란 정체성과 창의력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지역민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도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사실도 잊어서는 안된다.
 이번 축제를 통해 지역민이 함께 즐기는 분위기, 알찬 프로그램이 넘쳐나는 축제로 거듭나 지역 축제의 패러다임을 바꿔나가는 데 큰 역할을 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고성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