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재 순
삼산면 병산리
 사람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누구나 동계(同系)  혈통(血通)을 상징하는 성씨를 가지고 태어난다. 이는 천륜이라는 엄연한 절대성의 바탕위에 조상으로부터 선택의 여지없이 계승된다는 말이다. 성이란 본시 자신의 태생과 혈통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일종의 부호로서 동계혈통의 씨족중심을 벗어나 부족사회 또는 부족국가로 형성발전 되면서 서로의 가통을 호칭하기위한 방법이 되기도 한다. 오랜 모계사회를 거쳐 결혼 없이 동굴 같은 곳에 함께 모여 살다가 차츰 일부일처(一夫一妻)를 중심으로 하는 가정을 이루게 되면서 힘이 센 남자가 산업생산과 가정을 주도하면서 부자(父子)의 관계가 확실해지고 부권사회가 정착되면서 성씨가 확립되어왔다는 말이다. 모계사회의 여성 혈통을 가리키는 성이 생겨난 다음 후대 부족시회에서 부족국가로 발전하여 가부장제화 되면서 남성의 혈통을 가리키는 씨(氏)가 쓰이게 되고 그 후 성과 씨가 합하여 부자(父子) 계성(繼姓)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씨(氏)란 원래 신분의 귀천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어 귀한 자는 씨(氏)가 있었으나 천한 자는 씨(氏)가 없고 이름만 있었다. 성씨제도는 대체로 처음에는 왕가에서만 사용하다가 차츰 귀족들과 일반국민들도 사용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조에 과거제가 시행될 무렵에 이르러 지도층 계급에 차츰 성이 보급되면서부터 보편화하여 조부로부터 계대하여 사용되어왔으며, 특별한 경우 왕으로부터 사성 받았을 때에는 성이 바뀌면서도 이를 영광으로 여기는 경우도 있었다.
 성씨가 확대되면서 같은 성씨라도 계통이 다를 수 있어 근본을 구분하기 위하여 본관이라는 것이 생겨났다. 본관(本貫)의 관(貫)은 돈을 의미하고 꿴다는 말이므로 가운데에 구멍이 뚫린 엽전에 줄을 꿴 것과 같은 모양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이를 성씨의 고향이라 하여 관향(貫鄕)이라고도 한다. 각 성씨의 시조가 어느 한 고을에 벌족하고 오래 살았거나 명망을 얻었거나 벼슬을 했거나 유배를 당하는 등 연고가 있을 때 그 고을을 본관으로 삼았다. 문헌상 본관이 처음 나온 것은 신라 말 헌강왕 2년에 최치원이 지은 진감국사 탑 비문으로 관적(貫籍)이란 말이 나온다. 본관을 바꾸는 사례도 있어서 공훈에 대한 보답으로 왕이 본관을 내리는 사관(賜貫)이 있다. 고려 초의 충신 신숭겸(申崇謙)은 본래 곡산 신 씨였으나 태조 왕건에게서 평산 신 씨로 사관 받았다. 공 씨(孔氏)는 공자의 고향인 곡부(曲阜)를 사관하고 주 씨(朱氏)에게는 주자의 고향인 신안을 사관하기도 했다. 조선시대에는 4대조의 처(祖母)의 본관까지 기재하게 되어 있음은 얼마나 본관을 소중히 여겼는지를 말해주고 있다. 우리 조상들은 어디 사람이냐고 말할 때 지금 살고 있는 곳을 말하지 않고 본관을 말했다.

 한 종족의 혈연관계를 부계(父系)를 중심으로 기록한 계보와 문벌기록, 선조의 행적, 묘비명 등을 정리한 씨족의 역사책인 족보는 중국 한나라 때부터 있어왔으며 남북조시대 제나라의 족보학자 가희경(賈希鏡)이 700권의 족보 책을 만든 일이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 고려 의종 때 김관의(金寬懿)의 왕대종록(王代宗錄)과 임경숙(任景肅)의 선원록(璿源錄)을 효시로 하며, 본격적인 족보의 효시라면 조선 성종 7년(1476) 권근(權根)의 외손 서거정(徐巨正)이 서문을 쓴 안동권씨의 성화보(成化譜)와 뒤 이은 문화유씨의 가정보(嘉靖譜)라 할 수 있다. 족보의 종류로는 시조가 같으면서도 본이나 성을 달리 하게 될 때 이를 통합해서 만드는 대동보(大同譜) 또는 대보(大譜), 둘 이상의 종파가 서로 합해서 편찬하는 세보(世譜), 시조로부터 시작하여 한 계파의 혈연집단만을 중심으로 수록하는 파보(派譜), 시조부터 시작하여 본인 중심으로 직계존속과 비속을 망라하여 보첩하는 가승보(家乘譜), 한 가문의 혈연관계를 계통적 도표로 정리하는 계보(系譜) 또는 세습보(世系譜), 집안에 소장된 모든 보첩을 이르는 가첩(家牒) 또는 가보(家譜), 모든 성씨에서 큰 줄기를 추려내어 사전(辭典)형식으로 집성한 만성보(萬姓譜) 등이 있다.
 4-5천년 이상 거슬러 올라가면 한 가지 성씨에서 후대에 여러 성씨들이 갈라져 나오고 또 성씨가 변하기도 한다. 만물이 끊임없이 운동하고 변화하지만 결국 그 근원으로 복귀하여 생명 본래의 상태로 회귀하게 됨을 아는 것이 참다운 지혜이며 밝음이라 할 것이니 인간으로 태어난 자신의 계보를 아는 일이 바로 첫 걸음이자 근본이라 할 것이다. 어울려 사는 세상에서 타인들에게 조상을 자랑한다면 혹 자기자랑으로 비쳐질 수도 있겠으나, 이는 내가 서고자 할 때 남도 서게 할 수 있고(己立立人) 나를 완성하고 사물을 완성한다는(成己成物) 기본정신과 진심으로 자기(조상 포함)를 사랑할 줄 아는 사람만이 남도 사랑할 수 있다(愛己愛他)는 보편적 인간본성을 곡해하는 것이기에, 조상들이 남기고 간 발자취의 아름다운 향기를 회복하는 강렬한 구방심(救放心) 이야말로 자손이 가야할 마땅한 길이 될 것이다. 언제나 수신(修身)이 먼저이고 제가(齊家)나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는 나중에 저절로 따라가는 것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는 원리이고, 전 세계가 한 가족으로서의 사랑을 실현하자는 국제연합(UN)헌장의 바탕이 되고 있으며, 이 목표는 부모와 자식 간의 사랑을 바탕으로 한 효(孝)와 사회 협동적 인류애를 근간으로 한 인(仁)을 최고의 덕목으로 내걸고 있음이 또한 같은 의미가 될 것이다.  

 이번에는 족보에 나오는 일반 용어 중 몇 가지를 간추려 볼 차례인데 먼저 시조(始祖)는 여러 씨족 중 관 별(貫別) 단일종족의 창씨개성(創氏改姓)한 조상으로 기일세(起一世)하는 것이 원칙이나 계대의 실전 등으로 시조와 일세조(一世祖)를 달리하는 경우도 있다. 비조(鼻祖)는 시조 이전의 선대 조를 지칭하며 정중하게 호칭하는 방법으로 쓰인다. 중시조(中始祖)는 한미한 가문을 중흥시킨 선조로서 후대에 종중의 공론에 따라 추존한다. 선계(先系)는 시조 또는 중시조 이전의 계대를 이름이며 세계(世系)는 시조 또는 기일세조(起一世祖)이하의 계대차서(系代次序)를 말한다. 생존하신 어른의 자명(字名)을 지칭할 때 함자(銜字)라 하고 고인이 된 후 자명을 지칭할 때 휘자(諱字)라 한다.
 위에서 보학에 대한 개요를 살펴봤듯 우리 개인의 혈연사인 족보의 수록 내용이 곧 민족사이다. 타인에게 우월감을 과시하기 위한 수단, 또는 때에 따라 은근슬쩍 배타성으로 흐를 수도 있으나, 자신의 정체성(identity)을 확인하여 기록하기 위한 수단일 뿐, 우리 모두가 뗄 수 없는 공동체이고, 조선시대에 그랬듯이 4대조의 외가라면 거의 모든 성씨가 혈연일수 있다.  인간이 집단으로 엮어가는 역사 속에 한 가닥이 되는 혈연의 기록 자료에 대한 학문인 보학 또한 역사서에 못 지 않게 중요함을 말해두고 싶다.

저작권자 © 고성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