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편집인 김윤호

 고성군 인구수가 5만이 붕괴돼 대안 마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통계에서도 인구소멸 우려지역으로 나타나고 있다. 10월 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는 2만 6515세대, 4만 9488명이다. 전체 인구의 절반에 가까운 2만 3359명이 고성읍에 몰려있다. 나머지 13개 면 지역 중 3000명 이상이 거주 하는 곳은 거류면과 회화면, 동해면 3곳뿐이다. 구만면과 영현면은 1000명이 채 안 된다. 

 고성군 인구수는 조선기자재업 호황에 힘입어 2011년 5만 8902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줄곧 감소 추세다. 저출산과 고령화, 농촌 기피로 인한 탓이다. 

 고성군이 인구증가를 위한 적극대응에 나서야 할 때다. 인구 5만 명이란 수치는 군 단위 기초자치단체에서 중요한 지표로 작용한다는 사실이다.  중요한 것은 지방 재정 확보와 각종 정책을 결정하는 척도가 되기ㅐ때문이다. 정부가 지방자치단체에 주는 교부세를 산정하는 여러 기준 중 하나가 인구 5만 명이다. 자치구·시·군의 지역구 시·도의원 정수도 마찬가지로 5만 명이 넘으면 최소 2명이지만 미달이면 최소 1명으로 줄어든다. 

 급기야 고성군은 인구소멸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을 내 놓았다. 

 올해 초 인구청년추진단을 신설해 인구 증가 시책과 신규 사업 발굴에 주력했다. 신혼부부 대출이자 지원 기간을 5년에서 7년으로 늘리고 지방소멸대응기금 221억 원으로 청년 창업 정책과 보육 등 정주 여건 개선에도 적극 나섰다. 그렇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았다. 기대와 달리 인구는 얼마 못 가 다시 내림세로 돌아섰고, 4월 말 5만 25명을 마지막으로 다시 4만 명대로 주저앉았다. 전입‧전출은 엇비슷한데,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최대 10배나 많은 탓이다.

 따라서 군은 당분간 지역 기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주소 갖기 캠페인을 펼치며 5만 명 회복에 집중할 계획이다. 여기에 인력 수요가 큰 제조업 유치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고 문화‧의료 인프라 확충해 삶의 질을 높이는 정주 여건 개선에 공을 들이기로 했다. 
문화나 관광, 힐링 분야에서의 사업을 확대하고 강점이 있는 귀농·귀촌 생활인구 유치활동에 집중 한다는 계획이다. 지역민들은 민관이 합심해 총체적 난국을 헤쳐 나가야 한다는 여론이다. 너나 할 것 없이 인구증가시책에 적극 동참해야 한다. 우선 공무원 인사에서도 패널티를 적용해 사무관급 이상은 현주소를 고성군에 두어야 한다. 물론 자녀들의 진학문제가 걸리기는 하지만 얼마든지 가능하다. 지역주민들의 의견도 적극적으로 수렴해야 한다. 지역 활력 주민 아이디어 공모, 청년 간담회, 귀농귀촌 간담회 등과 더불어 인구감소대응 포럼 개최도 한 방법이다.

 물론 지방소멸이란 단어가 다소 과장된 측면은 있지만 현 시점에서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인구 감소에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인구증가시책은 지역 소득창출, 청년 주거, 자녀 교육, 여가 생활 등 복합적인 모든 분야가 톱니바퀴처럼 잘 돌아 갈 때 효과를 볼 수 있다. 

 지자체들의 인구증가시책이 출산장려금 지급 등 비슷해 보인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보다 신선한 지역의 특성에 맞는 인구증가시책 개발이 급선무다.

저작권자 © 고성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