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고성군 읍면은 인구소멸지수가 0.15이하로 인구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최근 통계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2020년 31%에서 2030년 43% 이상 증가하는 등 고령사회를 지나 초고령 사회로 빠르게 진입함에 따라 인구소멸위험지수는 갈수록 낮아질 것으로 전망 되어 진다.
 다행스럽게도 고성군은 일찌감치 이러한 움직임을 직시해 지난해 ‘농촌정주여건개선’ 공모사업을 신청해 최종적으로 266억원 상당의 국비를 확보했다.

 이러한 사회현상에 대비해 활력 있는 농촌정주여건 조성으로 행복한 농촌 만들기를 통한 인구소멸위험지수를 높이기 위해 행정은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를 알고서다.
 인구소멸을 막기 위해선 우선 활력 있는 농촌정주여건 조성으로 머물고픈 행복한 농촌마을을 만들어 냄으로서 청년인구가 나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정주여건을 바탕으로 더 많은 청년인구를 농촌으로 들어오게 해 농촌지역 인구감소에 따른 인구소멸을 막는 일정부분의 역할을 우리 스스로가 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친환경 축사부지 조성을 두고 인근 주민들은 이러한 내용을 숙지하지 못해선지 반대 노선을 펴고 있어 우려가 깊다.
 물론 친환경 축산단지가 들어섬에 따라 거주 지역이 다소 불편한 부분이 없지는 않으나 대승적인 차원에서 볼 때 무조건 반대 보다는 합리적인 방안을 도출해 내야 함이 바람직해 보인다.
 어렵사리 따낸 공모사업을 수포로 돌아가게 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만약 우려한 대로 된다면 페널티는 물론 각종 공모사업 신청에도 여러 가지 제약이 따른다는 것은 불 보듯 뻔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재로선 사업대상지를 재차 선정하는 것도 무리가 따른다.

 어쨌든 도로변에 늘어선 ‘절대반대’라는 입장을 표명한 사안에 대해서는 다소 민망스럽기 그지없다. 얼마든지 민관이 서로 머리를 맞대어 합리적인 방안을 도출해 낼 수도 있는데도 불구하고 대외적으로 알리는 의도는 개운치가 않음이다.
 물론 이사업이 ‘농촌 정주여건 개선사업’ 이고 보면 행정도 적극 나서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해야 하는 것은 더 말할 나위 없다.
 아무리 좋은 사업이라도 지역민을 저버리는 사업시행은 절대 안 된다는 전제에서다.

 아무쪼록 이번 사업을 통해 민관이 합심해 서로 조화롭게 연결해 추진함으로서 다가오는 초고령 사회에 대비하여 ‘살기 좋고 찾고 싶은 농촌 정주여건 조성’으로 인구소멸 위험을 낮추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고성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