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폭우와 강풍을 동반한 제6호 태풍 ‘카눈’의 기세가 예사롭지 않다. 

 앞서 기상청은 9일 오후부터 다음날 새벽까지 강한 바람과 폭우를 동반할 것으로 예보했다.

 카눈’은 중심기압 970hpa(헥토파스칼), 최대 풍속 초속 35m로 지난해 9월 큰 피해를 안긴 힌남노급이다. 최대 풍속이 시속 126㎞로 기차를 탈선시킬 정도의 위력으로 지역에 따라서는 600㎜가 넘는 비를 뿌리거나 시간당 100㎜ 이상의 물 폭탄을 쏟아낼 수도 있다.

 집중호우로 지난달 47명의 사상자를 낸 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자칫 재난이 또 발생할 수도 있다니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무엇보다 행정력을 총동원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게 급선무다. 가장 먼저 상륙지인 통영을 비롯한 남부내륙지방의 피해가 클 것으로 우려돼 각 지자체와 지역민들은 초긴장 상태로 밤을 지새웠지만 다행스럽게 큰 피해 없이 북상하고 있다는 소식에 안도의 숨을 내쉬었다.

 그러나 이번 태풍 경로가 한반도 전체이기에 여전히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 북한도 초긴장상태인 것을 매스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상청의 예보대로라면 큰 피해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기상청은 2012년 경남 진주에 상륙해 2명이 사망하고, 3800여명의 이재민, 3600억원의 피해를 낸 태풍 ‘산바’의 경로와 비슷하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특히 이번 태풍이 예상을 깨고 한반도에 오래 체류하기에 피해를 더 키울 수 있다고 우려되는 만큼 모든 상황을 감안해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 더 이상 인재(人災)·관재(官災) 얘기가 나와선 안 되기 때문이다. 충북 청주시 오송 지하차도의 악몽이 되살아나선 곤란하다는 얘기다. 당시 벌어진 참사는 전형적인 인재·관재였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안일하고 허술한 대응이 피해를 키웠다. 당시 관련 기관이 적극적으로 나섰다면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었을 것이다. 이번에는 ‘뒷북’ 대응이나 ‘누구 탓’하는 후진국형 악습을 되풀이하지 말아야 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고강도 안전 조치를 강구해야 할 것이다. 최근 기후변화 영향으로 태풍의 향배나 위력을 점치는 게 거의 불가능해졌다는 사실을 직간과해선 안 된다.

 태풍 7호 ‘란’도 도쿄 먼 바다에서 몸집을 키우고 있다니 기상 변수에 한시도 긴장의 끈을 놓아선 안 된다. 그러기에 취약계층이 많이 거주하는 상습 침수 지역을 우선 점검이 중요하다. 특히 새벽에 비상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 만큼 위험 지역 주민에 대한 사전 대피 매뉴얼을 가동해야함은 물론이다. 지하차도, 반지하 주택, 아파트 지하주차장의 차수막 설치와 하천변 인근 지역, 산과 가까운 급경사지 등의 점검에 한 치 소홀함이 없도록 각별히 신경 써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저작권자 © 고성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