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집중호우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전국에서 속출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주말 전국을 휩쓴 집중호우로 지난 18일 0시까지 41명이 사망하고 9명이 실종됐다. 전국적으로 50명에 이르는 사망·실종자는 78명이 희생된 2011년 이후 12년 만이다.
 이처럼 전국 곳곳에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했지만 다행스럽게도 경남은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물론 크고 작은 재산피해는 발생했지만 지난 4일간 퍼부은 강우량이 유례없는 최대 946mm이라고 보면 천만다행이 아닐 수 없다. 최근 들어 내린 집중호우의 양상은 ‘극한호우’라는 용어가 나올 정도였으니 말이다.

 ‘극한호우’로 불리는 폭우에도 도내에 인명피해가 생기지 않았다는 것은 도민들의 안전의식이 크게 작용됐지만 경남도를 비롯한 각 시·군의 예방행정의 노력 덕분이라고 본다.
 실제 경남도는 지난해 태풍 힌남노 강습 이후 빈틈없는 재난관리 체제를 갖춰 왔다.
 그래선지 집중호우 기간에 ‘집중호우 위험시설 예찰 및 도로 전수점검’ 지시로 선제적인 도로통제와 산사태에 대비한 주민대피로 인명피해를 사전에 막을 수 있었다. 지방도 1018호선 부근의 도로유실로 인한 도로통제와 더불어 산청 오부면 원방마을주민들을 마을 회관으로 긴급대피 하게 한 선제적 대응 등을 두고서다. 만약 그대로 방치했다면 상상만 해도 아찔한 순간을 겪었을 것이다.

 물론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재해가 갈수록 극단적인 형태로 나타나면서 사전 대비에 한계가 있는 것만은 사실이다.
 특히 이번 집중호우로 인해 산사태가 발생한 지역은 수백 년간 한 번도 이런 상황이 도출된 적이 없었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는 전례가 없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항시 새겨두어야 함은 더 말할 나위 없음이다.
 그보다는 이번 사태는 한마디로 정부와 지자체는 물론 국민들도 아직 기후위기에 대한 적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 안타깝기 그지없다.
 실제 재해가 발생할 때마다 인재 논란이 제기되는 것도 사전에 좀 더 철저하게 대처했다면 하는 아쉬움이 크기 때문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기후위기에 따라 갈수록 커지는 재난피해를 사전에 막아내기 위해서 다소 지나치다 싶을 정도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때라고 본다.

저작권자 © 고성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