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이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의 체감경기는 더욱 썰렁하다. 특히 ‘명절 특수’라는 것도 이젠 옛말이 됐다. 전통적 비수기인 1분기에다 경기침체까지 겹쳐서이다. 설상가상으로 대출금리 인상에 임대료 부담도 늘어나 더 버틸 여력이 없다. 이른바 부실 우려가 큰 취약차주에 대한 채무 재조정이나 사업 전환을 위한 출구 마련 등 실질적인 개선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 같은 현상은 전통시장도 예외는 아니다. 코로나19가 잠잠해 올해는 나아지겠거니 기대했는데 오히려 작년보다 더 한산하다. 이 같은 설 명절 분위기는 여러 해석을 낳고 있지만 여전히 ‘비대면 명절’ 문화 속에 껑충 뛴 물가로 씀씀이를 꺼리는 모양새다.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는 이유이다. 상인들은 제수용품을 손질하며 영업 준비에 분주하지만, 고객들의 발길은 멀게만 느껴진다.

 정부와 지자체는 내수경제 활성화를 위한 크고 작은 지원 사업을 추진한지 이미 오래다. 코로나19 재 확산 및 물가고와 경기침체로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는 설명절의 현주소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그 배경은 고물가와 경기침체로 소비자 대부분이 지갑을 닫고 있는 작금의 현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이 건강하게 유지되고 활발하게 돌아가야 지역경제에 활력이 생긴다. 전통시장은 말 그대로 서민들의 삶의 터전이고 일터다. 시장상인들, 상품을 공급하는 업체, 농수축산 종사자 모두 우리의 가까운 이웃이다. 세계적인 경기불황에서 살림이 팍팍하기는 매 마찬가지라는 사실이다.
 이 어려운 시기에 이웃과 상생하고 지역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어 서로를 살리는 착한 소비의 중요성과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상권회복에 가장 중요한 소비자들의 발길을 끄는 데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해당 지자체나 공공기관들이 크고 작은 행사를 통해 전통시장 살리기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여의치가 않다.
 물론 각 지자체에서는 온누리상품권이나 지역화폐를 지급하는가 하면 매달 하루를 전통시장 방문의 날로 정한 곳도 있다. 고성군도 얼마 전 군민 1인당 25만원씩의 재난지원금을 지급했다. 사용기간을 정한 이유도 딱히 다른 이유가 없음이다. 게다가 설 명절을 기해 한시적이나마 전통시장 주변 주차를 허용해주는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다. 지자체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은 이제는 필수과제이다. 그렇더라도 좀 더 다각적인 방법을 모색해봄이 어떨까 싶다. 이를테면 전통시장만의 특색 있는 다양한 문화 체험행사 등도 고려해 봄직 하다.

 민족 최대 명절인 설 연휴가 내일부터 시작된다. 비록 경기가 어려워 넉넉하지는 않더라도 다함께 이웃을 생각하는 훈훈한 설 명절이 되었으면 좋겠다.

저작권자 © 고성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