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지방선거 공천을 둘러싼 갈등과 잡음이 끊이질 않는다. 국민의힘이나 더불어민주당이나 별반 다를 게 없다. 특정인 공천 배제를 놓고 연일 티격태격한다.
 컷오프된 당사자들이 반발하는 일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전략공천과 경선 기준은 제멋대로임을 여실히 증명해 주고 있다. 지방선거에 임하는 비전도 안 보인다. 당내 주도권을 누가 잡느냐의 싸움만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지방선거를 대선의 연장전으로 여기고 정쟁만 벌이는 여야 지도부, 유력 정치인과 강성 지지층에 기대 계파 싸움에만 몰두하는 예비후보들 모두 한심하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1995년에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실시된 이래 이런 선거는 처음이다.

 그렇지만 다행스럽게도 우리로선 한시름을 놓게 됐다.
 국힘 고성군수후보에 나선 전원을 경선에 참여하는 것으로 정리됐기 때문이다. 물론 공천룰은 중앙당 공관위의 규정과 다를 게 없는 당원50%와 일반50%를 대상으로 모바일과 ARS로 진행된다.
 특히 이들 모두가 다 같이 공천 결정에 승복한다는 공명선거를 다짐해 무엇보다 반갑기 그지없다.
 무려 5명의 후보자가 나서 과열양상으로 치닫는지 우려도 했지만 기우에 지나지 않았다.

 내주 중으로 경선 일정이 잡혔다고 하니 유권자들 또한 적극적으로 경선에 참여해주길 당부한다.
 물론 공천은 ‘후보자들만의 리그전’이지만 그들 마음대로 해도 되는 건 아니다. 국민 세금으로 막대한 정당보조금과 선거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거쳐야만 하는 이유다.
 2016년 총선 당시 새누리당은 ‘옥새들고 나르샤’ 공천 파동으로 참패의 성적표를 받아든 전례가 있다. 공천 과정 자체가 그만큼 중요하다. 지방선거는 대선 결과와 무관하게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될 수 있다.

 어느 정당이 얼마나 공정하게 제대로 된 후보자를 추천하고 지방 발전의 비전을 내세우느냐에 따라 또 다른 민심의 평가와 심판이 기다리고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정개위의 뒤늦은 선거구획정으로 마음을 졸이고 불만에 가득찬 후보들도 속출했지만 모든 걸 뒤로하고 다가오는 선거전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유권자들도 남은 기간 동안 옥석을 가리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함은 물론이다. 우리에게 고성군의 미래가 달렸음이다.

저작권자 © 고성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