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과 국민의 힘이 6·1 지방선거에서 기초의원 ‘중대선거구제’를 일부 지역에서 시범 실시하고 광역·기초의원 정수를 늘리기로 합의했다.
 대단히 아쉽고 부족하지만 다당제 정치 개혁의 첫발을 떼고, 다원적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물꼬를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진전으로 천만다행이 아닐 수 없다.
 여태껏 그들만의 진영논리를 내세워 지금껏 합의점을 찾지 못하다가 오늘에서야 결론을 낸 것에 야유라도 보내고 싶다. 그동안 선거구 획정을 두고 많은 이들의 애가 타들어 갔을 걸 생각하면 말이다.

 고성군도 처음부터 중대선거구로 올렸는가 하면, 광역의원 의석수가 1석이 된다는 설이 지배적으로 아예 처음부터 우회하는 이들도 나왔다.
 특히 예비후보자 등록도 해야 하고 공약도 발굴해야 하지만 선거를 코앞에 둔 시점까지 국회의 결정만 바라보며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 실제로 이어진 것이다.
 주위로 부터의 “말로만 참신한 정치신인을 내세울게 아니라 최소한 얼굴을 알릴 수 있는 기회는 주어야 할 게 아니냐“는 비아냥거리는 소리는 이미 묵살된 지 오래전 얘기다.

 문제는 이렇듯 선거구 획정이 늦어질수록 지방선거 출마자의 지역구 활동은 위축 될 것이 자명하고, 이는 결국 유권자들의 후보자 검증 부실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 결국은 정치의 시작점부터 오류가 된다는 것이다.
 자칫 유권자들마저 ‘깜깜이’ 선거를 치러야 할 판이었다.
 결국 선거구 획정을 둘러싼 여야의 논리는 이번 지방선거에서 자기당 지방의원을 한명이라도 더 확보하기 위한 샅바싸움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매번 이런 식이라면 지방의회 정수와 선거구를 자치적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중앙정부가 선거구 획정 권을 갖고 있는 현재의 중앙집권적 제도는 풀뿌리민주주의라는 지방자치의 근본 취지에도 부합되지 않는다는 견해에서다.
 지방자치가 중앙정치의 예속으로부터 벗어나 진정한 풀뿌리민주주의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 문제를 심각하게 검토해야 한다.

 '민주주의 정치는 지방자치에서 부터 시작된다.'고 다들 말한다. 정치의 출발선은 지방선거인 것이 분명하다는 것을 행여 잊지 말기 바란다.
 비록 늦은 감은 있지만 진로를 잘 설정해 고성군 백년대계의 초석이 되길 간절히 바란다.

저작권자 © 고성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