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열기에 파묻혀 100여 일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는 뒷전인 모양새다. 여느 때 같으면 실질적인 선거운동에 나설 지방선거 후보들이 예비후보 등록조차 미루고 있다. 출마 의지를 밝힌 입후보 예정자들도 대통령 선거에만 올인 하고 있어 안타깝다.
 대통령 선거가 지방선거보다 중요하고, 대선후보 당락에 따라 지방선거 후보자들의 명운이 갈리는 만큼 당연한 분위기다.
 하지만 국정 못지않게 광역과 기초단체의 살림살이도 중요한 만큼 지방선거 후보자들의 면면과 정책을 꼼꼼하게 따질 기회가 막히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크다.

 실제 예비후보등록일이 시작된 지난 18일을 기준으로 경남선관위에 등록한 지방선거 후보자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경남의 경우 지난 18일 시장과 도·시의원 예비후보 등록 첫날 29명이 등록해 제7회 지방선거 시장, 도·시의원 등록 첫날 182명의 16% 수준에 불과했다.
 수도권도 이와 비슷한 상황이다. 경기도지사 선거에 3명이 예비후보로 등록했으나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없고, 129개 도의원 선거에도 4명이 등록하는 데 그쳤다.
 인천시장 예비후보와 33명을 뽑는 인천시의원 선거 예비후보 등록자도 아직 1명도 없다. 충청권과 호남권도 상황은 매 마찬가지다.
 이처럼 예비후보 등록이 저조한 것은 대선과 선거구 획정이 마무리되지 않은 탓이다.

 특히 민주당과 국민의힘 등 거대 양당은 ‘대선일 까지 지방선거 출마자들은 개인 선거운동을 금지’한다는 지침을 정해 놓았다고 하니 경악스럽다.
 정당에 가입했다는 가장 큰 이유로 말 한마디 뱉지 못하고 이 추운 날 아침저녁으로 연신 절을 해대는 후보자들이 안쓰럽기 그지없다.
 정치신인이나 광역의원 출마 예정자들은 이래저래 예비후보 등록에 정당 눈치를 봐야 하고 선거구 획정도 지연되면서 모든 선거 일정이 올 스톱된 상황으로 좌불안석이다.
 이런 현상은 앞서 말한바와 같이 거대양당에서 대선일 전까지 입후보 예정자의 이른바 ‘자기 선거운동’을 금지하고 있는 게 가장 큰 이유다.  
 물론 광역과 기초의원은 국회에서 선거구 획정을 매듭짓지 않은 탓도 크다고 할 수 있다.

 3~4개월 전부터 후보자들이 사실상의 선거운동에 나서는 게 옳으냐는 반론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지방자치의 중요한 두 축인 집행부와 의회를 구성할 후보들에 대한 검증이 허술해질 우려가 크다. ‘깜깜이 선거’가 될 수 있는 가장 큰 요인이다. 
 특히 신인들에게는 자신을 알릴 기회조차 얻지 못한 채 선거를 치를 가능성이 크다.
 충분한 검증 없이 후보를 선택하는 건 지방자치에 역행하는 일이고, 주권자의 권리를 제한하는 일임에 분명하다.

저작권자 © 고성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