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선거가 있는 올해는 지방선거가 연이어 치러진다.
 대선이 끝난 직후에 곧바로 지방선거를 치르는 건 올해가 처음인데, 그만큼 대선 결과가 지방선거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다. 그것도 3개월이 안 돼 치러진다는 이유 때문으로 올해 지방선거도 대선의 여파에 크게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 압도적이다.
 이를 반증하듯  2018년 지방선거에서 광역단체장 17곳 중 민주당이 무려 14곳을 차지한 가운데 당시 자유한국당이 2곳, 무소속이 1곳을 가져갔다.
 기초단체장 역시 226곳 가운데 민주당이 151곳, 한국당 53곳을 확보했다.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으로 싱겁게 끝났다.
 당시 대부분의 정치 전문가들은 문재인 정부 집권이 1년 뒤 치러진 지방선거 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그런데다 올해 지방선거는 역사상 대선과 간격이 가장 좁디좁다. 새 대통령이 취임하고는 한 달도 안 돼 치러진다는 이유에서다.
 한 정치평론가는 "이번 지방선거 역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누가 뭐라고 해도 3월 9일에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의 결과이다“면서” 무엇보다 대선의 영향력으로 부터 벗어나기 힘든 숙명이라는 것“이다.
 도지사가 공석 중으로 '현직 프리미엄'이 없는 경남을 비롯한 경기, 제주도는 대선 결과에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지난해 4월 보궐선거로 새 시장이 선출된 서울과 부산의 입장도 매 마찬가지다.
 취임한 지 1년밖에 안 된 현 시장에게 한 번 더 힘을 실어줄 가능성이 있지만, 이 두 곳도 대선의 영향력을 피해 가긴 어렵다는 분석이다.

 당시 보수지역 강세로 불리는 고성군의 입장도 크게 다를 바 없었다. "집권 여당 출신 지자체장을 뽑아야 그 사람이 예산을 조금이라도 더 가져올 것이다“라는 지역정서가 작용한다. 
 대선의 여파가 크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한다.
 이런 식이다 보니 한마디로 이번 지방선거는 대선의 연장선이 될 전망이다.
 일각에선 다섯 달도 채 남지 않은 지방선거가 대선에 가려지면서 이른바 '묻지마 선거'가 되지 않을까 우려의 목소리가 깊다.
 유권자들의 무관심 속에 출마예정자들의 윤곽도 아직 드러나지 않은 곳이 수두룩하다.
 예년 같으면 벌써 들썩거려야 할 시점이지만 올해는 지역 일꾼도 정책도 모두 실종된 분위기로 싸늘하다. 물론 코로나의 여파도 무시할 순 없긴 하다.

 현 시점에선 정치 신인들도 그렇고 현역 정치인들도 그렇고 답답한 마음이 있지만, 정당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속 타는 것은 출마자들이다.
 모든 것이 대선과 연관돼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현실에 절로 한숨이 흘러나온다. 이런 실정 이다 보니 획기적인 공약 등은 아예 제시도 못 한다.
 단체장보다 상대적으로 관심도가 떨어지는 지방의회 의원 선거는 더 심각하다. 모든 결정을 대선 이후로 정한 이들이 대다수라는 사실이다. 
 각 지역정가에서는 이맘때쯤이면 “누가 출마 한다더라”는 소문으로 일색이었건만 이런 저런 연유로 유권자가 후보자들을 제대로 검증할 수 있는 기회란 쉽지가 않다.
 그런데다 당장 예비후보 등록을 얼마 남겨 놓지 않은 시점에 지금까지 선거구 획정조차 되지 않아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이들도 많다.

 게다가 기초의원 선거구획정안이 기존 4개선거구에서 3개선거구로 줄어들 가능성이 농후하다. 고성군은 앞서 경남선거구획정위원회에 이 같은 안을 제출했다.
 물론 경남선거구획정위원회가 사안의 경중을 따져 이번에는 의회와 각 정당의 입장도 고루 수렴 한다는 취지이지만 지금껏 집행부의 입장을 들어주었다는 사실에 무게감이 실린다. 
 서로간의 유불리야 있겠지만 정치신인들에게는 녹록치 않은 것만은 사실이다.
 대선의 여파가 어디까지 미칠지는 몰라도 작은 배들이 순항 하기란 그리 싶지는 않아 보인다.

저작권자 © 고성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