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보선이 얼마 남지 않은 가운데 사전투표가 당장 내일로 다가왔다. 하루 전인 지난 1일에는 여야 공히 사전투표를 독려하고 표심잡기에 나섰다. 다들 투표율 높이는 데는 한목소리로 외쳐 무척 고무적이다.
 투표율 상승으로 인한 유불리에 대한 분석은 결과를 통해서만 알 수 있다. 그런데 어떤 이유에선지 이번에는 여야가 공히 사전투표를 독려하고 나선 이례적인 상황이지만 투표율을 높인다는데 에서는 달리 이견이 없음이다.
 실제 통상 투표율이 그리 높지 않은 재보궐선거는 공직 선출의 선거로서 심각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예를 들어 당선자가 30%의 투표율에 투표자 40%의 지지로 당선되었다면, 그 당선자는 전체 유권자의 12%의 지지만을 받은 셈이 된다. 달리 말해, 그는 100명의 유권자 중 88명이 동의하지 않은 가운데 12명만의 지지로 당선된 것이다. 그 경우 당선자는 대표성을 인정받을 수 있나 하는 점에서 재보선의 투표율을 높이는 것은 선거 그 자체의 의미를 위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번에 치르지는 4.7 재보선을 포함하여 선거의 투표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

 우선 유권자 차원에서 볼 때, 투표율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동안 투표에 불참했던 사람들이 투표에 참여하는 것이다. 근래의 상황으로 미루어 볼 때 나는 그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아니, 그것은 이미 지난 지방선거부터 시작되었다. 젊은 층의 적극적인 투표 참여가 바로 그것이다. 물론 호불호로 다소 엇갈릴 수는 있지만 바람직한 것만은 분명하다. 이들이 후세의 대한민국의 미래를 짊어진다는 것은 생각에서다.
 그동안 투표 참여에 소극적이었던 젊은 층이 이처럼 적극 투표 참여에 나선 것은 그들이 사회 양극화의 최대 피해자이기 때문일 것이다. 개인적인 노력을 통해 더 이상 미래를 개척할 수 없는 상황에서 그들은 이제 투표 참여의 집단적 행동을 통해 그 난관을 돌파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사회 상층에 비해 투표 불참의 경향이 강한 사회 약자층 역시 투표에 적극 참여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도 아닐 것이다.
 정당의 경우 투표율을 높이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정책과 후보 경쟁을 통해 유권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항시 나타나는 네거티브 경쟁은, 유권자들로 하여금 투표율 상승이 아니라 그 하락을 조장하고 있다.

 모든 것을 차치하고 투표율을 높일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은 유권자들이 적극 투표에 나서는 것이다. 투표 참여를 높이는 근본적 대안은 유권자의 ‘정치 효능감’을 극대화 해야 한다. 그런데 정치 효능감은 그냥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스스로 만들어내야 한다. 그 과정이 바로 투표 참여다. 
 투표 참여는 ‘공익, 자기희생 그리고 소통의 정치’가 가능하도록 만들 수 있는 유권자의 마지막 수단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고성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