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처님 오신 날에 ‘반야심경’ 이야기 2편 )

남 덕 현
고성읍 동외로

 사람의 인생에서 즐거움과 기쁨이 있다고 하나 그건 잠시뿐이요. 고통과 괴로움이 대부분이다. 사람에게 다가오는 고통과 근심과 재앙은 끝이 없다. 하나의 고통이 사라지면 또 다른 고통이 나타나고 또 다른 고통이 사라지면 또 다른 고통이 끊임없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사람은 한평생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모든 고통과 재앙을 피할 수는 없다. 그것은 인간에게 주어진 인간의 삶과 함께 할 수밖에 없는 인간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고통과 재앙이 찾아올 때마다 괴롭지만 기꺼이 받아들이되 집착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고통과 재앙이 어디서 오며 어떻게 발생하는지 아는 것도 매우 중요하리라고 생각한다.

 도일체고액 (度一切苦厄) 

 요약된 풀이)일체의 고액(苦厄:고통과 액난, 괴로움)을 건너, 해탈, 열반에 이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온(물질적 현상, 감각작용, 의지적 충동, 식별작용)이 모두 공(空:실체가 없음을)함을 확연히 알고 이 모든 고통에서 벗어났다. 
 구체적 풀이)인간으로 태어나서 겪어야 하는 일체의 고액(苦厄)이 과연 무엇이며 어디서 오는 것인가를 살펴보자. 먼저 괴로움의 괴로움을 생각해보면 인간의 감각적인 괴로움을 의미한다. 즉, 육체적 고통을 의미하는 것이다. 내 육체가 직접적으로 괴로움을 느끼는 것으로, 누군가에게 맞아서 아프다던가, 병으로 몸이 아프다던가, 배고파서 겪는 육신의 괴로움, 그리고 추워서 느끼는 괴로움 등이다. 그리고 사회현상이 변하기 때문에 겪는 괴로움을 생각해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행무상(諸行無常:우주 만물은 항상 생사와 인과가 끊임없이 윤회하므로 한 모양으로 머물러 있지 않음)의 진리 때문에 오는 괴로움으로, 모든 것이 항상(고정불변) 하지 않기 때문에 오는 괴로움을 의미한다. 이 괴로움이 바로 불교의 고성제(苦聖諦: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에서 말하는 괴로움과 가장 가까운 괴로움이라 할 수 있다. 즉, 괴로움이라고 하면, 육체적 괴로움이나 혹은 다른 어떤 괴로움을 의미하기보다는, 일체 만유는 항상(고정불변) 하지 않고 반드시 변화한다는 진리에 따른 괴로움이다. 지나간 과거를 생각하며 행복했던 때를 떠올리고, 다시 그때로 돌아가고 싶지만 그렇게 할 수 없는 괴로움이며, 늙고 병들어 예전처럼 한 십 년 정도 젊어지고 싶지만 그러지 못하는 괴로움 등이 모두 이에 속한다. 또한 사랑하던 이와의 사랑이 늘 계속되길 바라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랑하는 감정이 사라짐에서 오는 괴로움, 돈이 항상 할 것 같고, 명예가 항상 할 것 같고 권력이며, 지위, 계급, 사랑이 항상 할 것 같지만 그리고 내 주위에 있는 사람이 항상 할 것 같지만 언젠가는 변화하게 마련이라는 데서 오는 괴로움이다. 우리가 흔히 괴로움이라고 말하는 생노병사(生老病死: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네 가지 큰 고통) 의 인생 고(苦)가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항상 하기를 바라지만 일체의 법은 항상 하지 못하고, 언젠가는 반드시 부서지게 되는, 인간으로 말하면 죽음의 괴로움이다. 자연을 보면 성주괴공(成住壞空:생겨나고 이루어지면 한동안 머물다가 허물어져서 다시 허공으로 돌아간다는 뜻)하여 반드시 변하여 부서지게 되고, 인간을 보더라도 생로병사(生老病死: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네 가지 큰 고통) 하여 반드시 죽음을 맞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 뿐 아니라, 현재에는 있는 것이지만 그것이 없어졌을 때 느끼는 괴로움도 괴로움에 속하는데, 이는 우리가 재물, 지위, 혹은 명예 등을 상실했을 때 느끼는 괴로움이다. 자세히 말해, 돈이나 나의 소유물 등이 인과 연이 다해 나에게서 멀어질 때 느끼는 괴로움도 바로 이 고통에 속하는 것이다. 항상 하지 않고 언젠가는 사라지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태어나는 것은 괴로움이며. 늙는 것은 괴로움이다. 병드는 것도 괴로움이며, 죽어야 하는 것 또한 괴로움이다.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것 또한 고통스러운 일이며. 원한이 있는 사람과 만나는 것 또한 고통스럽다. 구하나 얻어지지 않는 것도 고통스러움이니, 요컨대 번뇌의 수풀 위에 뿌리를 박고 있는 내 몸이 존재하는 것이 고통이다. 이것이 괴로움이라는 진리이다. 이것에 더불어서 미워하는 대상과 만나는 괴로움, 사랑하는 대상과 헤어져야 하는 괴로움, 원하지만 얻지 못하는 괴로움, ‘나다’라고 아상을 내세우는데서 오는 괴로움이 있다.

 생로병사(生老病死: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네 가지 큰 고통) 네 가지 괴로움은 몸의 괴로움이며, 마음의 괴로움이고, 몸(색)과 마음(수상행식<수(受-느낌), 상(想-생각), 행(行-의지), 식(識-판별)>)의 괴로움이라 할 수 있다. 어찌 생각하면 태어나는 것이 무슨 고(苦)인가 하고 생각할지 모르겠으나 사실은 가장 큰 괴로움이며 가장 근본이 되는 괴로움이라 할 수 있다. 만일 태어나지 않았다면 늙고 병들고 죽는 등의 괴로움이 있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늙고, 병들고, 죽는 괴로움인데 물론 이 세 가지는 누구나 괴로움이라고 인정하겠지만, 혹 어떤 사람은 늙고, 병들고, 죽는 것 말고, 그와 반대의 개념, 즉, 젊고, 건강하고, 살아있다는 즐거움이 있지 않은가 하는 의문을 제기하기도 할 것이다. 즉 다시 말해 왜 젊고 건강하고 살아있다는 즐거움도 있는데 왜 세상을 부정적으로 보고 ‘인생은 일체개고(一切皆苦:인간이 무상, 무아를 깨닫지 못하고 영생에 집착하여 그로써 온갖 고통에 빠져 있음을 이르는 말)라고 하는가 하고 말이다. 이것은 인생 전체를 보고 판단하는 것이지, 결코 어느 한 단면만을 보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인생의 단면만을 본다면, 젊은 것, 건강한 것, 살아있다는 그리고,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서 행복하게 사는 것, 원하는 지위, 재물, 명예 등을 얻어서 즐거운 것 등을 즐거움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인생 전체를 보면 우리는 결국에 가서 ‘늙음과 죽음’이라는 궁극적 고통에서 벗어날 길이 없다. 그러므로 모든 즐거움의 바탕에는 늙음과 죽음이라는 괴로움이 이미 깔려 있는 것이다. 어느 누구도, 살아가면서 병 때문에 한번쯤 괴로워하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평소에는 느끼지 못하지만, 막상 병이 육신을 엄습해 오면 그 괴로움이란 당해보지 않은 사람은 느끼기 힘들다. ‘돈을 잃으면 조금 잃은 것이요, 명예를 잃으면 많이 잃은 것이요, 건강을 잃으면 모두를 잃은 것이다.’라는 말이 있는 것처럼 말이다. 건강할 때 항상 감사하며 살 일이다. 이상에서 말씀드린 생로병사(生老病死: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네 가지 큰 고통)의 괴로움 말고도, 네 가지 괴로움이 더 있다. 그 첫째가 사랑하는 대상과 헤어지는 괴로움, 아끼는 물건 등은 영원히 나의 것으로 할 수 없고 언젠가는 나와 멀어지게 마련이다. 한창 열정적으로 사랑을 나누던 두 남녀가 언젠가 그 중 한 명이 죽는다던가, 다른 이성과 눈이 맞아 헤어지려 한다면 이 괴로움은 그야말로 죽는 괴로움보다 더 괴로울 것이다. 그 뿐 아니라, 부모, 형제, 친지, 친구들과 어쩔 수 없이 헤어져야만 하는 괴로움, 또한, 사람과의 일이 아닌, 물건에 대한 집착도 마찬가지다. 다음은, 그와 반대인 원망스럽고 싫은 것과 만나야 하는 괴로움이다. 보기 싫은 사람, 얼굴만 보아도 화가 나고 답답하고 혹은 두려운 사람들과 항상 만나야 한다면 그보다 괴로운 일이 있을까? 이런 예가 아니더라도 싫어하는 상대와 만나야 하는 괴로움은 얼마든지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구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데서 오는 괴로움이다. 이 세계의 생명 있는 중생들 중 과연 무엇인가를 얻으려고 하지 않는 이들이 있을까? 그러나, 그렇게 얻으려고 하는데 비해서, 자신이 얻고자 하는 것을 쉽게 마냥 얻을 수 있는 이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아무리 가진 것이 많은 이들도, 주위에서 보면 돈이며 명예, 지위 등을 모두 가지고 있으니 얼마나 좋을까 하며 부러워하겠지만, 사실 그 입장이 되어 보면 그 또한 무언가를 계속해서 얻으려 하고, 얻지 못해 괴로워하게 마련이다. 이렇듯, 우리들이 얻고자 하는 욕구에 비해서 그 모두를 가질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해야 옳을 것이다. 이렇게 우리는 무언가를 얻기 위해 바라는 마음이 끝이 없고, 그것이 모두 충족되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날마다 괴로워한다. 다음으로 인간의 구성요소에서 오는 괴로움으로, 색수상행식<색(色-육체)수(受-느낌)상(想-생각)행(行-의지)식(識-판별)>의 오온이 존재한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괴로움이다. 다시 말해, ‘내 것이다’, ‘내가 옳다’, ‘내 마음대로 한다.’ 하는 상을 가지기 때문에 그만큼 괴로움이 오는 것이다. 괴로움의 주체는 바로 ‘나’이기 때문이다. 내가 없는 마당에 누가 괴로울 것인가? 모든 괴로움의 근본이 되는 것으로, ‘나다.’ 라는 상을 여의면 사라지는 괴로움인 것이다.

 다시 말해, 고정된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고, 공(空)하다는 사실을 올바로 조견할 때 이 괴로움은 소멸되는 것이다. 이런 괴로움이 소멸되면 일체 모든 괴로움이 소멸된다. 독자들은 어떻게 할 것인가?

저작권자 © 고성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