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13지방선거가 60여일 앞으로 성큼 다가온 가운데 누가 뭐라 해도 정가의 관심사는 자유한국당 고성군수 공천권을 누가 따 내느냐에 있다.
 이러한 궁금증도 13일 오후쯤이면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내다보인다. 이는 두 번의 군수 궐위사태로 인한 우리의 목마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막의 오아시스 같은 우리의 해갈을 해소시킬 수 있는 그런 후보자가 탄생되길 학수고대했기 때문이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많은 지지를 받은 후보자는 자유한국당 군수후보가 되는 것이다. 예전 같았으면 ‘따논 당상’(?)이라는 말이 서슴없이 뱉곤 했다.
 하지만 지역민들의 생각도 이제는 많이 바뀌었다. 더 이상 묻지마 투표는 안된다는 게 지역민들의 생각이다. 여야를 막론하고 열심히 맡은바 역할을 다해 지역민을 잘살게 할 수 있는 후보라면 우린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이번 선거는 인물론을 내세워 후보자를 선정해야 하는 이유다.
 지금껏 고성군은 보수의 아이콘으로 불리우며 정치인들의 허상을 덮기에 급급했다. 참으로 안타까운 현실이 아닐 수 없다.

 게다가 선거에 임박한 후보자간의 네거티브 선거전은 바람직하지 않다. 하지만 사실에 입각해 문제를 제기하면 공익적 검증의 효과를 거둘 수 있기도 하다.
 물론 선거에서 상대방을 공격하려면 불법적이거나 부도덕한 부분을 사실에 근거해 제시하는 것이 기본이다. `아니면 말고 식'의 무차별적인 폭로전은 오히려 부메랑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상대방을 흠집 내기보다는 실현 가능하고 차별화된 정책 공약을 내놓고 차분하게 검증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네거티브 전략이 득표의 수단으로 악용되면 되레 역풍을 맞게 된다.
 후보자들은 서로 존중하며 포지티브 원칙을 지켜야 한다. 선거전이 과열 혼탁해질수록 유권자들의 현명한 판단이 요구된다. 무관심과 외면은 부적합한 사람이 대표로 선출되도록 돕는 것과 다르지 않다. 지역의 지도자를 뽑는 과정인 만큼 자질과 공약을 엄밀히 검증하는 것은 유권자들의 책무이다. 도를 넘는 네거티브 공세가 발을 못 붙이도록 주민들이 심판해야 한다.
 물론 한꺼번에 여러 종류의 선거가 실시되는 바람에 유권자들이 출마자의 됨됨이를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가 않다. 더욱이 이들의 경력과 공약을 일일이 따져보기란 여간 공이 드는 일이 아니다.

 단체장의 경우에는 투표 과정에서 걸러질 가능성이 있지만, 상대적으로 관심도가 떨어지고 후보자가 많은 기초의원의 경우엔 유권자들이 이런 기록을 눈여겨 살피지 않을 소지가 있다. 하지만 기초의원들 또한 우리의 살림을 직접 맡을 ‘풀뿌리 지도자’의 일원이다. 전과 기록 외에 병역 사항, 세금 납부 및 체납 등 국민 된 의무를 다했는지 여부를 선택의 기준으로 삼는 것도 최악의 후보를 피하는 방법이다.
 이런 후보들이 하는 선거운동은 뻔하다. 상대후보에 대해 흑색선전을 일삼고, 중앙당도 하지 못할 사업을 공약으로 내걸 것이다. 정당공천제 아래 이를 걸러내는 것은 일차적으로 정당의 몫이다. 하지만 공천과정에서 흠결 있는 후보를 모두 가려낼 것이라고 기대할 수 없다. 공천폐지 파동을 겪으면서 심도 있는 검증이 어려웠을 뿐 아니라, 흠결이 있더라도 이해관계에 따라 묵인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도덕적으로 흠결이 큰 후보에게 지역 살림을 맡길 수는 없다. 눈을 크게 뜨고 옥석을 가려내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고성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