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수확 철을 맞은 농촌에서는 눈코 뜰 새 없이 분주하다. 풍성한 수확의 계절이건만 그리 달갑지가 않아 보인다. 다들 일손이 부족해 아우성이다. 일손이 부족한 것은 어제오늘의 얘기가 아니지만 문제는 농가인구의 급격한 고령화에 있다.
 농촌지역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일손 구하기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일손이 많이 필요한 봄가을 농번기에는 웃돈을 주고도 일손을 얻기가 힘든 상황이다. 설상가상으로 농산물 가격은 매년 제자리걸음인데, 인건비는 계속 올라 농가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농촌의 경우 50세 미만의 농업 경영주는 50%가량 줄고 70세 이상 고령자는 80%이상 증가했다. 얼마 전 한 통계자료에 의하며 경남에서만 매년 3만 명 이상의 일손이 부족하다고 집계됐다. 정부와 지자체에서 농업인력 수효확보를 위한 귀농귀촌 정책을 펴고 있지만 실제 농사를 짓고 있는 이들은 1.6%에 불과 하다는 것이다.
 실제 농번기 인력을 자체적으로 조달하기는 불가능하다는 얘기다. 여기에 농가소득도 미미하다. 지난해 농가의 평균소득은 연간 1006만 원이었다. 15년 전과 비교하더라도 10% 늘어나는데 그쳤다.

 구체적인 수치는 열악한 상황을 입증한다. 지난해 경남의 농가인구는 10년 전에 비해 22%나 감소했다. 1㏊미만을 경작하는 농가가 56.4%만큼 농사지을 땅도 없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농약·비료 값, 인건비 폭등, 농산물시장 개방에 따른 가격하락 등으로 농민들이 이중 삼중고를 겪고 있다. 힘들게 농사짓고도 대가가 없다.
 최저생계비에도 못 미치는 농어촌 절대빈곤층은 대도시에 비해 2.3배나 많다. 대도시 빈곤층의 93.5%는 기초생활수급자로 선정돼 정부지원을 받지만 농어촌은 48.6%만 지원 받는다. 농촌의 사회안전망이 제대로 작동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도·농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일자리를 찾지 못한 청년백수가 도시에는 넘쳐나지만 이들이 농촌에 정착하지는 않는다.
 그만큼 농촌과 농업에 괴리감이 있다. 그렇다고 손을 놓고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도시의 유휴인력이 자연스럽게 농촌에 투입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자체는 지역특성을 살린 차별화, 명품화 전략으로 승부를 걸어야 한다.

 농촌을 찾아 모자라는 일손을 도와주고 땀 흘려 기른 농산품을 사주는 것도 한 방법이다. ‘공룡나라 쇼핑몰’의 적극적인 이용도 좋을 성 싶다.
 도농융합과 상생의 새로운 결연사업 모델을 개발, 상부상조의 인연을 넓혀나가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아무리 높은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있더라도 실천과 참여가 없으면 껍데기일 뿐이다. 1사1촌 운동, 도농교류운동을 더욱 활성화 해 힘든 농민의 어깨를 보듬어야 한다.
 그래야 수확기에 접어든 농민들이 주름살을 펼 수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농작업에 필요한 일손은 연인원 기준으로 마늘 164만명, 노지고추 143만명, 양파 135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세 품목만 해도 필요인력이 442만명에 이르고, 농업 전체로는 천문학적인 일손이 필요하다. 따라서 농촌 인력부족 해소를 위한 범정부 차원의 지원책 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우선 농촌의 공익적 기능 등을 감안해 행정·예산 지원 등을 위한 관련 법률 제정이 시급하다. 또 매년 공급 부족으로 민원이 되풀이되고 있는 농업분야의 외국인 근로자 쿼터 확대와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의 전면적인 시행이 필요하다. 범정부 차원의 농촌 일손부족 해소 대책이 적극 마련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고성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