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가뭄현상이 전국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영농차질 우려를 낳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등에 따르면 올해 강수량은 5월까지 전국 평균 155mm로 예년(259mm)의 60% 수준에 그친다. 농업용 저수지의 전국 평균 저수율도 72%로 예년 81%보다 낮다.
 더욱이 저수율이 30% 미만이 곳이 있는 것으로 파악돼 극심한 농업용수 부족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경기도의 경우 최근 강수량이 평년수준에 못미쳐 모내기는 물론 6월 밭작물 피해로 확산될 우려가 높다.
 경기도는 저수지에 하천수를 공급하면서 용수원을 개발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여기에다 충남의 가뭄도 심각하다. 간월호 저수율이 44%로 평년 저수율 82%의 절반에 그치는데다 염분까지 높아 원활한 모내기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보령댐 저수율도 사상 최저여서 예비 못자리를 준비하는 한편 모내기 순번제 물고 관리 등의 대책을 내놨다.
 경남도는 이에 비해 양호한 편으로 도내 저수지 평균 저수율은 68.1%로 전국 평균 저수율 56.9%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그러나 경남 자체만으로 비교하면 위험한 상황이다.
 평년 80.1%에 비해 12%p 낮다. 특히 지난주 도내 저수율 75.4%에서 불과 일주일 만에 7.3%p나 떨어졌다. 저수율이 50%를 밑도는 저수지는 거제 동부저수지 등 도내 13곳으로 파악됐다.

 문제는 앞으로다. 모내기철에 들어서면서 농업용수 사용량은 급격히 늘어나는 데 비해 현재까지 내린 비도 적은 데다 앞으로 강수량 전망도 어둡기 때문이다.
 5월까지 도내 누적강수량은 199.5mm로 평년 354.0mm의 절반 수준(57%)에 그칠 정도로 비가 적게 왔다. 부산지방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부산·울산·경남지역 봄철(3월 1일~5월 20일) 강수량은 역대 최소 5위를 기록했을 정도로 가물었다.
 영농기 가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6월 1일부터 ‘농업가뭄대책상황실’을 설치·운영해 가뭄피해 예방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실제 경남도는 국민안전처 가뭄대책상황실 설치·운영기준보다는 다소 여유가 있지만 최근 강우 부족으로 인해 경기·충남 등 가뭄이 발생했으며, 영농기 강수부족 장기화에 따른 물 부족 현상이 우려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사전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고 밝혔다.
 경남지역은 당장 영농준비에는 차질이 없으나 장기간 비가 내리지 않을 경우 초기 가뭄현상 발생이 예상된다.
 세부적인 가뭄대비 영농급수대책은 ▲하천수를 적극 활용해 저수지, 용·배수로, 논 등에 물가두기 및 용수이송 ▲영농기 농경퇴수 재이용 ▲하천굴착, 간이양수시설 등 적극 개발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조체계 구축으로 장비·인력 등 가뭄극복 현장 투입 ▲방송, 반상회, 안내문 등 농업인 물 절약 홍보 시행 등에 중점을 두고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지난해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10월부터 12월까지 봄철 물 부족에 대비해 33억원을 투입해 관정·양수장 등 125개 지구를 추진했으며, 올해는 물 부족 지역에 도비 2억4000만원을 지원해 가뭄에 적극 대비했다.
 경남도는 7월 말까지 비가 오지 않아 초기 가뭄이 발생할 경우 긴급 국비지원 건의와 예비비 확보를 통한 신속한 예산투입으로 가뭄극복에 만전을 다하기로 했다. 또한 농업가뭄 대책 상황실을 상시 운영해 긴급 상황에 대처할 계획이다.
 가뭄대비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사전적 재해대응 방안의 하나이다.
 정부도 지난해 10월부터 가뭄 우려지역에 대한 관정 등 용수원 개발과 간이양수장 설치, 저수지 물채우기 등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심각한 농업용수 부족이 우려되자 경기와 충남도에 40억원을 긴급 지원해 간이양수장 설치와 용수원 개발, 양수기·송수호스 등 양수 장비 보급에 나섰다. 이는 예산을 들이는 만큼 효과가 나타나겠지만 장기적 측면에서 근본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역별 상시 저수율 관리로 안정적 농업용수를 확보하는데 총력을 모아야 한다.

저작권자 © 고성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