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이른바 ‘선거의 해’로 불리어도 과언이 아니었다. 전국 단위의 선거가 불과 석 달도 채 못 되는 차이를 두고 연이어 진행됐다는 점에서다. 
 물론 ‘제3의 선거’로 불리는 지방의회의 ‘의장단 선출 문제’가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다. 그래선지 지방의회 출범 속에서 최대 난제인 ‘원 구성’이 지역민들의 많은 관심 속에 벌써부터 수면 위로 급부상하고 있다.

 ‘원 구성’은 지방자치단체의 한 축인 집행부에 대해 권력분립의 원리에 따라 상호 견제와 협력, 그리고 통제에 나서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대체적으로 이번 선거의 특성상 ‘국민의힘 내부에서의 샅바 싸움’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는 고성의회도 매 마찬가지다.
 제9대 고성군의회 선출직 의원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이런 추론이 더욱 명확해진다.
 즉 지역구 의원 9명과 비례대표 의원 2명 등 전체 11명에 이르는 고성군 의원들의 당적은 국민의힘이 지역 6명, 비례 1명 등으로 7명이며, 더불어민주당 소속 군의원 지역 2명, 비례 1명 등 3명 등 무소속의원 1명으로 구성돼 있다. 국민의힘이 절대 다석으로 2배 정도로 많다.
 따라서 의회를 대표하는 의장과 부의장, 그리고 운영위원장을 비롯한 각종 상임위원장 배분을 생각해 볼 때 지난 지방선거와 같은 분위기 속에 의장단 선출 등 원 구성이 ‘일당 독식’으로 흐를 수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결국 대통령선거와 지방선거에서 압승한 경남의 정치지형, 그 중에서도 보수성향이 강한 것으로 회자되는 고성군에 있어서 의장단 선출은 결국 같은 당 내부의 자리다툼 양상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현재로선 절대 다석으로 우위를 점한 국민의힘에서 의장 후보군이 될 가능성 크다. 
 현재 국민의힘에서 두명의 후보가 물망에 오르고 있다.  A의원은 다선의원으로서 그간 풍부한 의정경험을 토대로 집행부의 독선을 견제 할 수 있다는 이점을 내세우고 있다. B 의원은 비교적 합리적인 성격으로 큰 무리 없이 의회를 이끌어 나갈 수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그렇지만 문제점이 아주 없지는 않다. 거론되는 두 후보 역시 동문에다가 한지역구 출신으로 누구보다 상대 후보에 대해 너무 잘 알고 있다는 점에서 어떻게 보면 갈등의 소지도 함께 안고 있다는 점에서 도화선이 될 가능성도 없진 않다.
 다소 안심 되는 것은 이번 원구성에 대해 당내의 지역구 위원장의 입김이 그리 거세지는 않을 것으로 보여 지고 있다. 원만한 원 구성을 바란다는 설이 나돌고 있기 때문이다. 모든 것은 대부분 지역위원장의 확고한 의지로 인한 사안에서 비롯된다는 것은 더 말할 나위 없음이다.
 이에 따른 불미스런 상황은 앞전 선거에서도 여실히 드러났음이다. 알만한 이들은 이미 다 알고 있는 사실로 자칫 선거를 망칠수도 있었음이었다.
 문제는 그동안 고성군의회의 원 구성과 관련된 선거동향을 살펴봐도 보수정당이건 진보정당이건 할 것 없이 불협화음이 외부로 표출된 적이 한두 번이 아닌 상황이어서 이런 지역정가의 분석의 틀이 이번에도 맞아 떨어질 개연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번에는 세력이 약한 민주당이 표결을 통해 부의장이나 상임위원장 자리를 차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보니 국민의힘 의원들이 협치 차원에서 상임위원장 1석을 민주당에 양보하지 않겠느냐는 게 대체적인 시각으로 대두된다.
 협치 중요성은 8대 후반기 의장단 선거 때 드러난 바와 같이 동료의원 간 갈등으로 인한 파열음이란 큰 경험에 따른 것이다.
 특히 입지의 폭이 크게 좁아진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들에 대한 ‘배려의 목소리’와 함께 협치가 가능한 의회운영에 대한 ‘높아진 지역민들의 욕구’를 완전히 배제할 수도 없다는 점에 있다.
 국민의힘으로서는 이들 의원에 대해 ‘단순히 민주당 소속이라는 논리’로 원 구성에서 원천적으로 배제하는 모양세를 취한다면 향후 4년간의 의정활동이 다수당의 일당독재로 흐를 가능성을 예고하는 것이어서 이 역시 문제가 될 소지가 다분하다.
 특히 여성의원들이 의석수의 절반이 넘는 6명으로 원구성시 적극전이 배려가 뒤따라야 한다는 여론도 확산되고 있어 어떻게 정리될지가 관건이다.
 결국 제3의 선거라고 할 수 있는 지방의회 의장단 선출을 비롯한 원 구성 문제는 일차적으로 ‘국민의힘 내부의 집안 싸움’ 그리고 이차적으로 ‘야당에 대한 무 배려와 무 대책’이라는 비판에 직면할 위험에 처해진다는 점이다.

 지역정가 일각에서는 지난번 제8대 후반기 원구성 부분에 대한 여러 가지 불미스러운 일이 도출된 감투싸움을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 군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합리적 원 구성을 통해 지역민들의 비판과 외면을 자초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높다..
 특히 올해 새로 출범하는 고성군 의회는 의회 인사권의 독립과 여타 제도적 장치의 마련으로 인해 기존 의회와는 차원이 다른 ‘새로운 의회상 정립의 원년’으로서 의회 스스로 풀뿌리 민주주의의 기능을 한층 강화하고 또 이를 입증해야 하는 책임에 놓여있는 점도 충분히 고려돼야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고성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